메타센싱·적시소비… 국내 유일 20대 전문 연구기관이 전망한 2026년 트렌드 변화는

경제뉴스
2025-10-29 08:00 AM
(이코노미아울렛-뉴스)

국내 유일 20대 전문 연구기관인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신간 도서 ‘Z세대 트렌드 2026’에서 다가올 2026년 시대 변화를 포착하고 Z세대 트렌드를 전망했다. 이들에 따르면 최근 소비자를 움직이는 희소 가치의 중심이 ‘물질적 소유’에서 ‘시간의 향유’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저성장과 인구 절벽, 기후 위기, 인공지능(AI) 발전 등 복합적인 변화 속에서 반대급부로 인간의 ‘감정’이 주목받고 있다.

AI의 시대에 감정이 화두가 된 이유는? 2026 트렌드 키워드 ‘메타센싱’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1년간 900여 건의 트렌드 사례와 7000여 개의 소셜 빅데이터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가장 눈에 띄는 키워드는 ‘감정’으로 나타났다. 특히 Z세대가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감지하는 모습이 두드러졌다. 이들이 제시한 키워드 ‘메타센싱’은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능력을 뜻하는 ‘메타인지’가 확장된 개념으로,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며 관리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챗GPT와 대화하면서 좋지 않은 감정을 바로바로 비워내는 편이에요. 누군가에게 이야기하면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 같은데, 채팅방에 제 상황을 적기만 해도 기분이 나아지더라고요. 현실적인 조언을 구할 수도 있고, 확실한 피드백이 있으니 더 좋아요’(29세 남성 김OO)

대표적인 변화는 AI의 활용 목적에서 나타난다. AI는 과거 학업이나 업무를 위해 활용되던 것에서 나아가, 자기 감정을 털어놓고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창구가 되고 있다. 조사 결과, 생성형 AI를 자주 사용하는 20대(19~29세) 4명 중 1명(24.5%)은 AI를 통해 심리 상담을 해본 적이 있다고 밝혔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Z세대는 다양한 ‘감정 객관화’ 도구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파악하는 특징을 보인다며, 특히 AI에 고민을 털어놓으며 불투명한 감정을 객관화하는 모습이 두드러진다고 밝혔다. 이어 AI에 지나치게 의존할 수 있다는 우려의 시선도 있지만, 왜 이런 태도를 보이는지 주목해야 한다며, 감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메타센싱의 일환으로 AI가 활용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Z세대는 감정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것에서 나아가 감정 관리를 위한 생활 습관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특히 산책과 격불, 뜨개질 등 여가 활동과 수면 관리를 통해 감정을 다스리는 모습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알려진 코르티솔에 대한 관심도 눈에 띈다. 소셜 빅데이터 분석 결과, 코르티솔의 2025년 상반기 누적 언급량(13만 1676건)은 2024년 누적 언급량(9만 2540건)을 1.5배 상회했다. 코르티솔의 연관어로는 관리·유지 맥락의 키워드가 두드러졌으며, 특히 ‘루틴(1300%)’과 ‘삶의 질(1900%)’ 언급량이 폭증했다. 과거 질환이나 치료의 영역에서 주로 언급되던 코르티솔이 이제 스트레스 관리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루틴의 요소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Z세대 사이에서 다정함을 갈망하는 모습이 나타난다는 점도 흥미롭다. 최근 Z세대는 유튜브 플레이리스트나 ASMR 채널에서 일상의 고민을 댓글로 남기고 있다. 익명의 사람들과 따스하고 다정한 말들을 나누며 정서적으로 교류하는 것이다. 오프라인에서는 평범한 일상 생활 중 타인에게 다정한 말을 건네는 스몰토크 콘텐츠가 인기를 끌고 있다. Z세대는 이러한 콘텐츠에 위로나 감동을 받는 것에서 나아가, ‘다정함’이라는 태도 자체가 우리 사회의 드물고 소중한 가치라고 인식한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메타센싱은 개인의 감정 관리를 넘어 타인의 감정을 감지하는 일까지 포괄한다며, 인간 관계를 개선하고 우리 사회의 다정함을 채우는 방향으로 확장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새로운 소비 패턴 ‘적시소비’… 지금 이 순간만 누릴 수 있는 감각이 뜬다

2020년대 팝업스토어의 부상은 마케팅 업계의 메가 트렌드로 꼽힌다. 그런데 최근 Z세대에게 박람회가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뜨고 있다. 여러 팝업스토어가 모인 ‘팝업 백화점’ 같다는 이유에서다.

‘팝업스토어는 한 공간에서 할 수 있는 체험이 한정적이고 길어야 20~30분이면 다 보거든요. 그런데 박람회는 훨씬 더 넓은 공간에 소규모 팝업들이 모여 있는 느낌이에요. 다양한 경험들로 두세 시간은 거뜬히 보낼 수 있어서 좋아요’(22세 여성 강OO)

이처럼 Z세대는 박람회를 다층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시간 대비 얼마나 밀도 있는 경험을 할 수 있는지, 즉 ‘시경비’를 따지는 소비자의 니즈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자신의 니즈에 맞게 시간을 조절하며 밀도 높은 경험을 추구하는 태도가 나타난 것이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보다 가치 있게 순간의 경험을 누리기 위한 감각이 주목받고 있다. 오랜 기간 소비자의 마음을 장악한 키워드는 ‘FOMO(Fear of Missing Out)’였다. 타인에 비해 뒤쳐질까 봐 두려워하는 마음은 신상품과 유행 아이템에 지갑을 열게 하는 기저 심리로 통했다. 그런데 대학내일20대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Z세대 사이에서는 ‘지금 이 순간을 놓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부각되고 있다. 지금만 마주할 수 있는 감각이나 분위기를 온전히 느끼지 못하게 될까 봐 불안해하는 모습이 두드러진다. 이 같은 감정은 ‘FOMO NOW(Fear of Missing Out Now)’로 정의할 수 있다.

Z세대의 새로운 불안은 지금 이 순간을 누리려는 ‘적시소비’로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제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소셜 빅데이터 분석 결과, 2025년 제철 관련 언급량은 2022년 대비 1.6배 증가했다. 제철의 연관어로는 식재료·과일 등 제철 음식뿐만 아니라 굿즈, 드라마, 소설, 패션, 페스티벌 등 라이프스타일 영역 전반에 걸쳐 확대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에 브랜드에서는 제철 과일과 작물을 활용한 굿즈 등 계절의 변화를 실감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쓰고 있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최근 Z세대는 가격, 수량 등 물질적 가치보다도 시간을 얼마나 가치 있게 채울 수 있는지 주목하고 있다며, 이런 맥락에서 순간의 경험을 온전히 느끼려는 적시소비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공간 마케팅 분야에서는 소비자들이 깊이 몰입할 수 있는 ‘적시적 경험’이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 소개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통합 마케팅 에이전시 대학내일 소속 연구 기관이다. 20대를 가장 잘 알기 위해 MZ세대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알파세대와 X세대, 86세대 연구를 병행한다. 트렌드 사례 분석과 소비자 조사 결과, 소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트렌드와 세대를 연구하고 시장이 필요로 하는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Z세대 트렌드 2026: https://www.20slab.org/Archives/38969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All posts
경제뉴스 2024-08-27 13:44 PM

건국대학교, 고용노동부 미취업 졸업생 특화 시범사업 운영대학 선정

(이코노미아울렛-뉴스)건국대학교는 지난 19일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4년 하반기 미취업 졸업생 특화 시범사업 운영대학으로 선정됐다. 건국대는 이번 사업 선정으로 4500만원을 추가 지원받는다. 건국대학교, 고용노동부 미...

경제뉴스 2024-07-30 09:00 AM

이차전지 기업 32%, 녹색 스킬 내부 동원

(이코노미아울렛-뉴스)국내 이차전지 기업의 32%는 녹색 스킬(skills)을 내부에서 동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 스킬 획득 방법(%, 복수 응답)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7월 30일...

경제뉴스 2024-07-30 13:30 PM

디지털 교육 전문기업 DORO, 2024 ANSAN START UP 청년창업 경진대회 장려상 수상

(이코노미아울렛-뉴스)도로(DORO)의 김진한 대표가 지난 7월 27일 경기도 안산시 상록수 체육관에서 열린 ‘2024 ANSAN START UP 청년창업 경진대회’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 이번 대회는 안산시와 경기테크노파크가 공동으로 주최했고, 청년들의 창업과 사업화 지원을 위해 마련된 행사다. ...

경제뉴스 2024-08-12 10:30 AM

인터내셔날SOS 재단, 2024 안전배려의무 어워드 최종 후보 공개

(이코노미아울렛-뉴스)인터내셔날SOS 재단이 전 세계 기업 및 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어워드 ‘2024 안전배려의무 어워드(Duty of Care Awards)’의 6개 부문 최종 후보 명단을 공개했다. 인터내셔날SOS 재단의 ‘2024 안전배려의무...

경제뉴스 2024-08-13 13:00 PM

히스토리벤처투자, 핀테크 기업 프리즘투자자문에 전략적 투자

(이코노미아울렛-뉴스)히스토리벤처투자는 프리즘투자자문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고 13일 발표했다. 히스토리벤처투자는 창업기획자(AC)와 벤처투자회사(VC) 겸영사로, 혁신적인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투자와 보육을 통해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

경제뉴스 2024-08-28 09:19 AM

2024년 암호화폐 백만장자 폭발적으로 성장해

(이코노미아울렛-뉴스)국제 자산 및 투자 이주 전문 기업 헨리 앤드 파트너스(Henley & Partners)가 ‘2024 암호화폐 자산 보고서(Crypto Wealth Report 2024)’를 발표했다. 암호화폐 자산의 시가총액은 현재 2조3000억달러로, 지난해 발표한 ...

경제뉴스 2024-07-23 16:33 PM

2024년 고양 융복합 콘텐츠 아카데미, 오리엔테이션 및 첫 교육으로 활기찬 출발

(이코노미아울렛-뉴스)‘2024년 고양 융복합 콘텐츠 아카데미’가 오리엔테이션과 함께 첫 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아카데미는 경기콘텐츠진흥원이 주최하고 고양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프로그램으로, 고양문화창조허브에서 진행된다. ...

경제뉴스 2024-07-19 16:50 PM

LTI마인드트리, 압사 은행의 혁신 여정에서 전략적 기술 파트너십 재확인

(이코노미아울렛-뉴스)글로벌 기술 컨설팅 및 디지털 솔루션 회사인 LTI마인드트리(LTIMindtree)[인도국립증권거래소: LTIM, 봄베이증권거래소: 540005]는 아프리카의 선도적인 금융 서비스 그룹인 압사 은행(Absa Bank)과 수백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연장한다고 오늘 발표했다. 이로써 LTI마인드트리는 압사 은행...

경제뉴스 2024-07-26 11:20 AM

서울지역 고용노동청 관내 ‘근로자파견기업 준법교육’ 시작

(이코노미아울렛-뉴스)한국HR서비스산업협회는 고용노동부와 함께 파견근로자 보호와 파견사업자 준법운영을 위해 7월부터 서울지역 근로자파견 허가기업을 대상으로 ‘근로자파견기업 준법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

경제뉴스 2024-08-07 16:05 PM

바이오룸, 2024년 청년창업아이템 챌린지-호남권 ‘최우수팀’ 선정

(이코노미아울렛-뉴스)킹슬리벤처스의 보육 기업인 바이오룸(Bioroom)이 ‘2024년 청년창업아이템 챌린지(호남권)’ 발표 평가에서 최종 최우수팀으로 선정돼 혁신적인 기술과 창의성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2024년 청년 창업아이...

경제뉴스 2024-07-30 16:14 PM

‘1:1 투자 상담·글로벌 진출 연계’ 킹슬리벤처스, AFRO 2024서 농식품 유망 스타트업 지원

(이코노미아울렛-뉴스)글로벌 액셀러레이터 킹슬리벤처스가 농식품 기술창업 액셀러레이터 육성지원 사업 ‘2024 KINGSMAN GLOBAL GROUND (킹스맨 글로벌 그라운드)’ 육성 기업들과 함께 ‘2024 농식품 테크 스타트업 창업 박람회(AFRO 2024)’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

경제뉴스 2024-07-04 09:30 AM

Catholic Development Fund Deploys Boomi to Automate Complex Fiscal Processes

(이코노미아울렛-뉴스)Boomi™, the intelligent integration and automation leader, today announced that Catholic Development Fund chose Boomi to automate its customers’ corporate card reconciliation process, reducing complexity and speeding time-to-value for Catholic organisations. Catholi...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