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기준금리 인하 두고 엇갈린 전망
美기준금리 인하 두고 엇갈린 전망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를 두고 시장 예측이 엇갈리는 가운데, 스위스 최대 투자은행 UBS는 공격적 인하로 내년 연말에는 기준금리가 2.5∼2.75%
수준으로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르면 내년 3월부터 Fed가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미국 경제가 2분기부터 경기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가정이 뒷받침.
2025년에는 실업률이 4.8%까지 오르고,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1.7%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2025년 초에는 1.25% 수준으로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

바누 바웨자 UBS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금리 사이클을 (큰 폭의 금리 인하가 있던 과거와) 매우 다르게 볼 상황을 찾지 못했다"면서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정상화하고 있으며 내년 3월이면 연준이 매우 높은 실질금리 수준을 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월가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도 기준금리가 공격적으로 인하될 것을 예상했다.
이러한 가운데 연준의 마이클 바 감독 담당 부의장은 상원 은행위 출석을 앞두고 "고금리 및 유동성 위험 수준을 보여주는 은행들에 대해 맞춤형 검토를 하고 있다"고 서면을 통해 밝혔다.
이어 "소비자 및 상업용부동산 대출 부문 등의 신용 악화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전했다.
긴축 5단계
1.양적완화 축소
2.양적완화 중지
3.기준금리 인상 (2022.01월)
4. 기준금리 인상 지속(2022.01월 ~ 2023.07 월)
5.기준금리 인상 멈춤 (2023.07월 ~, 5.50%),
그 후 시장은 어느정도 상승세 유지-> 경제성장률 하락-> 실업률 상승 전환 (6%),
현재 3.9%-> 대폭락현재 : 5단계


추경호 “11월 물가는 3.5~3.6% 안정…공공요금은 당분간 동결”
정부 ‘정책모기지’·한은 ‘기준금리동결’이 가계부채 늘렸다

"소비자 및 상업용부동산 대출 부문 등의 신용 악화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를 눈여겨 봐야겠습니다.
힘든 시즌이 될듯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 Articles
All posts
경제 성장률 분석과 정부 정책에 대한 노하우
경기순환 수혜종목
비상 상황 대비를 위한 금융 계획과 위기 극복 전략 마련하기
경기 침체 우려와 가계부채 증가, 한국 경제의 주요 도전 과제
둔화되는 생산 증가와 커지는 불확실성
지식을 활용한 창업 및 사업 성공 전략
2024년 주목해야될 경제 키워드
주식 시장 기본 개념과 투자 전략으로 안정적인 수익 추구하기
기업 분석의 기술: 성공적인 투자의 팁
엔 캐리 트레이드와 일본발 세계 경제 위기의 가능성